1강: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
1.1 자바스크립트 실행
1.2 기본 데이터 타입
1.3 연산자
- 01-08 산술 연산자 +, -, *, /, %, **
- 01-08-02 산술 연산자 - 산술 연산자를 사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출력
- 01-09 대입 연산자 =, +=, -=, *=, /=, %=, **=
- 01-09-02 대입 연산자 - 1부터 10까지의 모든 수의 합계
- 01-10 증감 연산자 a++, a--, ++a, --a
- 01-11 비교 연산자 >, >=, <, <=, ==, !=, ===, !==
- 01-12 동등 연산자와 일치 연산자의 차이
- 01-13 논리 연산자 &&, ||, !
- 01-14 삼항 연산자 ?
- 01-15 연산자 우선순위
1.4 조건문
- 01-16 if문
- 01-16-02 if문을 사용하여 학점 출력
- 01-16-03 if문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로그인 상태 출력
- 01-17 if-else문
- 01-17-02 if-else문을 사용하여 학점 출력
- 01-17-03 if-else문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로그인 상태 출력
- 01-18 if-else if문
- 01-18-02 if-else if문을 사용하여 학점 출력
- 01-18-03 if-else if문을 사용하여 사용자와 로그인 상태 출력
- 01-18-04 if-else if문을 사용하여 계산기, 요일, 계절 출력
- 01-18-05 if-else if문을 사용하여 정보처리 기사 필기 시험 결과 출력
- 01-19 switch문
- 01-19-02 switch문을 사용하여 학점 출력
1.5 반복문
1.6 참조 데이터 타입(Object, 객체)
1.7 참조 데이터 타입(Array, 배열)
1.8 참조 데이터 타입(Function, 함수)
1.9 ECMA Script6
2강: 자바스크립트 함수
2.1 일급 객체
2.2 함수 생성
- 02-05 선언문
- 02-06 표현식 - 익명함수
- 02-07 표현식 - 기명함수
- 02-08 표현식 - 기명함수 사용(팩토리얼 함수)
- 02-09 Function 생성자 함수
- 02-10 화살표 함수
- 02-10-02 화살표 함수 - 배열 메서드에서 사용
- 02-11 선언문 방식의 함수 호이스팅
- 02-11-02 선언문 방식의 함수 호이스팅(실제 호출되는 순서)
- 02-12 변수 호이스팅
- 02-12-02 표현식 방식의 함수 호이스팅 - var
- 02-12-03 표현식 방식의 함수 호이스팅(실제 호출되는 순서) - var
- 02-12-04 표현식 방식의 함수 호이스팅 - let, const
- 02-12-05 표현식 방식의 함수 호이스팅(실제 호출되는 순서) - let, const
2.3 함수 호출과 this
- 02-13 매개변수와 인자수
- 02-13-02 arguments
- 02-13-03 arguments 대신 나머지 매개변수 사용
- 02-14 함수 호출 방법 1 - 일반 함수
- 02-15 함수 호출 방법 2 - 메서드
- 02-01-02 변수, 배열 엘리먼트, 다른 객체의 프로퍼티에 함수 할당 - this 출력
- 01-28-02 유사 배열 객체 - this 사용
- 02-16 함수 호출 방법 2 - 메서드(화살표 함수)
- 02-05-02 선언문 - call, apply 추가
- 02-15-02 함수 호출 방법 2 - 메서드 - call, apply 추가
- 02-17 함수 내부의 this 바인딩 문제
- 02-17-02 함수 내부의 this 바인딩 문제 해결 - 변수에 this 할당
- 02-17-03 함수 내부의 this 바인딩 문제 해결 - call
- 02-17-04 함수 내부의 this 바인딩 문제 해결 - 화살표 함수
- 01-28-03 유사 배열 객체 - Array.prototype 사용
- 02-18 가변 인자 처리 - apply() 활용
- 02-18-02 가변 인자 처리 - 전개 구문 활용
- 02-19 생성자 함수
- 02-20 생성자 함수 활용